본문 바로가기

교육자료

ETF 투자 용어 정리 (1) – 분배금, 기준가, 추적오차가 뭐지?

728x90

ETF 투자 용어 정리 (1) –  분배금, 기준가, 추적오차가 뭐지?

📌 목차

    왜 ETF 용어를 알아야 할까?

    ETF(상장지수펀드)는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투자 수단이지만,
    막상 투자하려 하면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요.


    ‘분배금?’, ‘기준가?’, ‘추적오차?’…


    처음 보면 “이게 다 뭐야?” 싶은 단어들.

     

    저도 투자 공부를 하면서 헷갈렸던 개념들을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이 글을 씁니다.


    저처럼 ETF 공부를 시작한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

     

    1. 분배금(Dividend)

    ETF가 수익 중 일부를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돈입니다.
    주식의 ‘배당금’과 비슷한 개념인데, ETF에서는 ‘분배금’이라는 용어를 써요.

    구분 내용
    어떤 돈인가요? ETF가 보유한 주식·채권에서 발생한 이익을 투자자에게 분배
    언제 주나요? 분기 또는 월 단위로 지급 (ETF에 따라 다름)
    어디서 확인하나요? 증권사 앱 → ETF 상세정보 → 분배금 지급 이력

    🔸 예시:

    • KODEX 고배당 ETF → 분기마다 분배금 지급
    • JEPI(미국 ETF) → 매월 분배금 지급 (실제 ‘월세처럼’ 들어옴!)

    💡 분배금은 자동 재투자 되지 않으니 직접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매수해야 합니다.

     

     

    2. 기준가(NAV: Net Asset Value)

    ETF가 실제로 가진 자산의 ‘진짜 가치’입니다.
    우리가 주식처럼 사고파는 ETF의 가격은 ‘시장가’이고,
    그 ETF 안에 들어 있는 실제 자산 가치는 ‘기준가’예요.

    구분 내용
    정의 ETF가 보유한 모든 자산의 시가를 합산한 뒤, 총 발행좌수로 나눈 값
    시장가와 다른가요? 네.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시가)과 차이가 날 수 있어요
    왜 중요하죠? 기준가와의 차이를 통해 ETF가 고평가 or 저평가되었는지 가늠 가능
    🧠 TIP: 기준가와 시장가가 너무 벌어지는 경우 → 비효율적인 매수 가능성 있음

     

     

    3. 추적오차(Tracking Error)

    ETF는 어떤 ‘지수(예: KOSPI200, S&P500)’를 따라가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그런데 실제 수익률이 지수와 다를 수 있는데,
    이 차이를 ‘추적오차’라고 합니다.

    구분 내용
    개념 ETF 수익률과 기준 지수 수익률의 차이
    원인 수수료, 운용 방식, 시차, 외환 등
    좋은 ETF 기준 추적오차가 작을수록 좋은 ETF입니다

    🔍 예시:

    • S&P500 지수가 10% 올랐는데, ETF는 8.5% 상승 → 추적오차 1.5%

    📌 장기투자 시 추적오차가 누적되면 큰 차이가 날 수 있어요.
    그래서 운용사 실력도 중요합니다!

     

     

    오늘 배운 핵심 요약

    용어 포인트
    분배금 ETF가 나눠주는 수익 배당처럼 일정 주기로 지급됨
    기준가(NAV) ETF의 실제 자산 가치 시장가와 비교해 매수 판단 기준
    추적오차 지수와 실제 수익률의 차이 작을수록 운용 효율 좋음

    ETF_용어정리_1편.pdf
    0.23MB

     

    마무리하며

     

    처음엔 생소했지만, 알고 나면 ETF 투자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높아집니다.


    오늘 공부한 내용을 기억해두면
    앞으로 ETF를 고를 때 훨씬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어요.

     

     

    고배당 ETF, 매달 월세 받듯 투자하는 법 (2025년 최신 추천)

    고배당 ETF, 매달 월세 받듯 투자하는 법 (2025년 최신 추천)📌 목차“돈이 일하게 하라”는 말,정말 가능할까요?매달 따박따박 들어오는 월세처럼, 주식시장에서도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는 방

    no-design.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