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투자 용어 정리 (1) – 분배금, 기준가, 추적오차가 뭐지?
📌 목차
왜 ETF 용어를 알아야 할까?
ETF(상장지수펀드)는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투자 수단이지만,
막상 투자하려 하면 생소한 용어들이 많아요.
‘분배금?’, ‘기준가?’, ‘추적오차?’…
처음 보면 “이게 다 뭐야?” 싶은 단어들.
저도 투자 공부를 하면서 헷갈렸던 개념들을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이 글을 씁니다.
저처럼 ETF 공부를 시작한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
1. 분배금(Dividend)
ETF가 수익 중 일부를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돈입니다.
주식의 ‘배당금’과 비슷한 개념인데, ETF에서는 ‘분배금’이라는 용어를 써요.
구분 | 내용 |
어떤 돈인가요? | ETF가 보유한 주식·채권에서 발생한 이익을 투자자에게 분배 |
언제 주나요? | 분기 또는 월 단위로 지급 (ETF에 따라 다름) |
어디서 확인하나요? | 증권사 앱 → ETF 상세정보 → 분배금 지급 이력 |
🔸 예시:
- KODEX 고배당 ETF → 분기마다 분배금 지급
- JEPI(미국 ETF) → 매월 분배금 지급 (실제 ‘월세처럼’ 들어옴!)
💡 분배금은 자동 재투자 되지 않으니 직접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매수해야 합니다.
2. 기준가(NAV: Net Asset Value)
ETF가 실제로 가진 자산의 ‘진짜 가치’입니다.
우리가 주식처럼 사고파는 ETF의 가격은 ‘시장가’이고,
그 ETF 안에 들어 있는 실제 자산 가치는 ‘기준가’예요.
구분 | 내용 |
정의 | ETF가 보유한 모든 자산의 시가를 합산한 뒤, 총 발행좌수로 나눈 값 |
시장가와 다른가요? | 네.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시가)과 차이가 날 수 있어요 |
왜 중요하죠? | 기준가와의 차이를 통해 ETF가 고평가 or 저평가되었는지 가늠 가능 |
🧠 TIP: 기준가와 시장가가 너무 벌어지는 경우 → 비효율적인 매수 가능성 있음
3. 추적오차(Tracking Error)
ETF는 어떤 ‘지수(예: KOSPI200, S&P500)’를 따라가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그런데 실제 수익률이 지수와 다를 수 있는데,
이 차이를 ‘추적오차’라고 합니다.
구분 | 내용 |
개념 | ETF 수익률과 기준 지수 수익률의 차이 |
원인 | 수수료, 운용 방식, 시차, 외환 등 |
좋은 ETF 기준 | 추적오차가 작을수록 좋은 ETF입니다 |
🔍 예시:
- S&P500 지수가 10% 올랐는데, ETF는 8.5% 상승 → 추적오차 1.5%
📌 장기투자 시 추적오차가 누적되면 큰 차이가 날 수 있어요.
그래서 운용사 실력도 중요합니다!
오늘 배운 핵심 요약
용어 | 뜻 | 포인트 |
분배금 | ETF가 나눠주는 수익 | 배당처럼 일정 주기로 지급됨 |
기준가(NAV) | ETF의 실제 자산 가치 | 시장가와 비교해 매수 판단 기준 |
추적오차 | 지수와 실제 수익률의 차이 | 작을수록 운용 효율 좋음 |
마무리하며
처음엔 생소했지만, 알고 나면 ETF 투자에 대한 이해도가 훨씬 높아집니다.
오늘 공부한 내용을 기억해두면
앞으로 ETF를 고를 때 훨씬 더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어요.
고배당 ETF, 매달 월세 받듯 투자하는 법 (2025년 최신 추천)
고배당 ETF, 매달 월세 받듯 투자하는 법 (2025년 최신 추천)📌 목차“돈이 일하게 하라”는 말,정말 가능할까요?매달 따박따박 들어오는 월세처럼, 주식시장에서도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는 방
no-design.tistory.com
'교육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그말리온 효과란? 믿음이 현실이 되는 마법 – 신화, 심리학, 그리고 사랑, 자기계발까지 (7) | 2025.06.26 |
---|---|
ETF 투자 용어 정리 (2) – 액티브 ETF vs 패시브 ETF, 뭐가 다르죠? (1) | 2025.06.26 |
고배당 ETF, 매달 월세 받듯 투자하는 법 (2025년 최신 추천) (3) | 2025.06.26 |
주식 초보를 위한 캔들차트 완벽 이해하기 (2) | 2025.06.25 |
상법 개정안, 왜 기업들은 무서워할까? (주가 흔들림 이유) / 핵심 대응 전략 (3)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