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웃음의 과학] 더 창의적으로! 더 생산적으로!

728x90
반응형

[웃음의 과학] 더 창의적으로! 더 생산적으로!

누군가 웃음을 조직을 더 창의적이게 하고, 깊은 유대를 만들어 준다고 말한다.

 

하지만 누군가는 웃음이 직장내 할 일 없는 사람들의 '농땡이'라고 말한다.

 

이메일이나 SNS를 통해서만 이야기를 하고, '잡담'은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말 그럴까?

- 목차 -
1. 웃음의 정의
2. 안전하고 안정된 상태
3. 창의성과 영감

1. 웃음의 정의

지난 20년 동안 웃음을 연구해 온 미국의 뇌과학자인 심리학 교수 로버트 프로바인은 '웃음이 동물의 호출 신호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웃음은 인간이 표현하는 전형적인 사회적 신호이다. 관계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웃는 순간을 조사한 프로바인 교수는 우리가 자주 '할수 있어요.', '끝이 났어요.', '됐다.' 등 일상적인 대화 후 웃는다고 밝혔다.

 

이렇듯 웃음은 농담보다는 동료들을 안정시키며 관계를 형성하는 용도로 더 자주 활용된다.

 

 

2. 안전하고 안정된 상태

영국의 소피 스콧 교수는 웃음이 '우리가 안전하고 안정된 상태에 있다는 무의식적 신호'라고 밝혔다.

 

집단이 개인보다 더 많이 웃는다는 것을 바꾸어 말하면 '우리가 집단에 속해있을 때 방어기제를 내려놓고 안정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3. 창의성과 영감

웃음은 조직의 유대감을 높여주고, 긴장을 내려주며 더 창의적인 사고를 가능케한다.

 

우리가 안정된 상태에 있을 때 아이디어를 더 자유롭게 떠올리고 창의적인 사람이 된다.

 

프로바인 교수는 웃을 수 있는 열린 자세를 제안했다.

 

"스스로 즐거움의 기준을 낮춰 웃을수 있고, 기꺼이 웃을 준비를 하세요!"

 

먹고 살기 힘든 상황에서 웃음을 우선시 하는 태도는 불친절하고 사소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웃음의 과학은 우리 편이라는 것을 명심하자. 누가 아는가? 당신의 웃음이 영감을 가져다줄지 말이다.

 

 

기꺼이 웃을 준비 완료!

하회탈의 민족

 

 

 

 

 

728x90
반응형